휴리스틱(Heuristic)은 사람들이 복잡한 문제를 깊이 사고하고 추론하는 것을 꺼려해 신속히 해결하고자 하는 정신적 전략입니다. 이는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때로는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문가니까 잘 알꺼야" "우리 가족이 든 보험회사는 믿을수있어"라는 단초로 어떤 결정을 하게됩니다. 그 종류로는 대표성 휴리스틱, 가용성 휴리스틱, 조정 휴리스틱, 절정, 시물레이션, 친숙성, 감정, 희소성, 시행칙오 휴리스틱 등이 있습니다.
1. 대표성 휴리스틱
사람들이 특정 사건이나 사물이 전의 사례와 닮은 정도에 따라 사건의 발생 빈도를 판단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정장을 입고 서류를 들고 있는 사람을 보면, "이 사람은 영업사원일 것이다"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실 그 사람은 영업사원이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가 가진 고정관념 때문에 그렇게 판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가용성 휴리스틱
특정한 사건이 기억에 떠오르기 쉬운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는 경향입니다.
예를들어, 뉴스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를 자주 접한 사람이 "비행기는 매우 위험한 교통수단이다"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실 통계적으로 비행기는 자동차보다 안전합니다. 하지만 가용한 정보가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매스컴을 통해 습득한 부정적인 사건을 많이 접한 사람은 사회를 아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조정 휴리스틱
초기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거기에서 조금씩 조정하여 결정을 내리는 경향입니다.
예를들어 어떤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흥정을 할 때 첫 번째로 제시된 가격이 기준점이 되어 이후의 흥정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물건 값을 50만 원이라고 처음 제시하면, 상대방은 이를 기준으로 흥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기법은 마케팅 분야에서도 자주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휴리스틱은 일상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효율성을 높여 주기도 하지만, 부정확한 판단이나 편향된 결정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나의 구매 욕구와 실용성, 판단의 기준, 소비 성향과 기치 판단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