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7

비움의 미학

어릴 적, 나는 완벽함을 수많은 색연필로 채워진 그림으로 생각했습니다. 빈틈없이 화려하고, 모든 공간이 찰랑이는 색으로 가득해야만 비로소 아름답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스케치북에 너무 많은 색을 덧바르다가 종이가 찢어져 버렸습니다. 눈물이 났을 때 아버지가 말씀하셨습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채우는 것보다 비우는 게 더 어렵다.” 그 말은 오랫동안 내게 수수께끼처럼 남았습니다.1. 조각가의 손끝에서 깨달은 것한 조각가의 다큐멘터리에서 그는 대리석 덩어리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이 안에 이미 완성된 형상이 있어. 낌새 없는 부분만 도려내면 돼.”그의 손끝에서 떨어져나가는 돌조각들은 ‘완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드러냄’을 위한 행위였습니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죠. 끊임없이 더하려는 욕심..

카테고리 없음 2025.05.07

현대판 파시즘

테러리즘의 목표는 어디서 몇명을 희생시키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실을 젭사게 전세계로 전달하는 메스컴의 활약을 이용하여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그 사회에까지 두려움의 씨앗을 심는 것이다.파시즘의 목표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사람들이 남의 잘못을 비판하게 지성을 활용하게 하면서 마음속에 죄의 씨앗을 남겨 놓는 것이다.테러리즘과 파시즘: 공포와 죄의식이 지배하는 사회의 메커니즘최근 몇 년간 전 세계는 테러리즘의 위협과 권위주의 정권의 부상이라는 두 가지 거대한 흐름에 직면해 있습니다. 언뜻 보면 이 둘은 서로 무관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심리적 전략이 숨겨져 있습니다. 테러리즘은 물리적 폭력으로 시작하지만 궁극적 목표는 "공포의 확산"에 있습니다. 파시즘은 권력의 강제력을 통..

카테고리 없음 2025.04.17

잉그리드 버그만의 내면의 소리

산에 오를 때면 발아래 작은 돌멩이가 발을 디디라고 속삭인다. 강을 건널 때면 흐르는 물결이 발목을 적시며 방향을 알려준다. 스웨덴의 배우 잉그리드 버그만이 말한 "우리 안의 작은 목소리"는 이렇듯 고요하지만 단호하다. 그녀의 목소리는 영화 필름보다 더 두꺼운 인간 내면을 가르며, 오늘도 우리의 갈피를 잡아준다.어릴 적 시냇가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동그랗게 퍼졌다. 그 동심원은 닿을 곳 없는 마음의 파장을 닮았다. 심리학자 칼 융은 '무의식'을 바다에 비유했다. 표면의 파도는 이성의 언어지만, 깊은 심해에선 눈에 보이지 않는 조류의 움직임이 있다는 것이다. 잉그리드 버그만이 말한 '작은 목소리'는 바로 그 조류다. 논리로 포장된 삶의 결정 뒤에 항상 묵직한 침묵이 깔려있음을, 그녀는 영화 〈가스등〉의 촛..

카테고리 없음 2025.04.11

용서의 한계와 요건

용서란 제비꽃이 자신을 밟은 사람의 뒤꿈치에서 부서지며 풍기는 향기이다 마크 트웨인의 통찰과 심리학적 단상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1910)은 미국 문학사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가 중 한 명입니다. "톰 소여의 모험"과 "허클베리 핀의 모험" 등으로 유명한 그는 날카로운 풍자와 유머,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로 독자들에게 사랑받았습니다. 트웨인의 작품은 단순한 아동문학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 인종 문제, 인간의 이중성 등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봄직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습니다."용서란 제비꽃이 자신을 밟은 사람의 뒤꿈치에서 부서지며 풍기는 향기이다"라는 이 유명한 문장은 트웨인의 인간 이해의 깊이를 잘 보여줍니다. 이는 용서의 본질을 아름답고도 인상깊게 포착하고 있는데, 심리학적 관점에..

심리학의 나무 2025.04.08

힘든 날에도 정신 차리고 행복해지자

때로는 삶이 무거워 우리 어깨를 짖누를 수도 있습니다. 어느 날은 모든 것이 순조롭게 흘러가다가도, 순간 예기치 못한 시련에 부딪히기도 하죠. 그럴 때마다 우리는 "왜 나만?"이라는 생각에 휩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짐바브웨의 작가이자 사상가인 심페웨 은툴리(Simphiwe Ntuli)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힘든 날에도 정신을 차리고 행복해지는 것이다."1. "힘든 날"은 선택이 아닌, 삶의 일부먼저, 우리는 "힘든 날"이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라 "삶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아무리 계획을 잘 세운 사람이라도 불확실성과 고통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죠. 문제는 고통 자체가 아니라, 그 고통을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있습니다. 심페웨 은툴리는 이 점을 강조하..

자연주의 단상 2025.04.05

능력을 알아보는 능력

"다른 능력보다 훨씬 뛰어나고 드문 능력이 있다. 바로 능력을 알아보는 능력이다."이 말을 남긴 엘버트 허버드(Elbert Hubbard)는 19~20세기 미국의 독특한 사상가이자 작가이었다. 그는 평범한 삶을 거부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으로 살아간 반항적인 인물로 유명하다. 그는 성공학, 자기계발, 리더십 분야에서 수많은 명언을 남겼는데, 그중에서도 "능력을 알아보는 능력"이라는 개념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묵직한 조언을 던진다.1. 엘버트 허버드는 "성공의 비밀"을 꿰뚫은 현실주의자이다.그는 1856년 미국 일리노이에서 태어났다. 평범한 세일즈맨으로 시작했지만, 곧 "삶은 내가 만드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삶의 방향을 틀었다. 그는 독학하여 작가가 되었으며, "필로스(Philist..

심리학의 나무 2025.04.04

비워야 채울 수 있다

🌿 1. 비움의 철학 - 노자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했습니다. 억지로 채우려는 욕심, 고정된 생각, 과거의 경험 등으로 가득 찬 마음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여유가 없습니다. - 마치 찻잔에 차가 가득하면 더 이상 따를 수 없듯, 우리의 생각과 욕망도 비워야 진정한 성장이 가능하죠. 2. 유연함 - 빈 그릇은 형태가 고정되지 않아 어떤 모양으로든 변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의견과 고정관념에 집착하지 않는 사람이 변화하는 세상에 더 잘 적응합니다. 3. 자연스러움 - 노자는 "도(道)는 자연을 본받는다"고 말했습니다. 억지로 채우려는 행위보다 비움으로써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는 것이 진정한 풍요로 이끈다는 의미입니다. 💡 현대인에게 적용하는 법1. "정보 ..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절망을 뚫고 나오는 힘

봄길 걸으며들판을 걷다 문득 마주한 아주 작은 새싹 하나.아직은 바람이 차고, 햇살조차 맵지만그 조그마한 생명은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땅을 뚫고 고개를 들고 있었다.어떤 이는 그냥 지나쳤을지도 모른다.하지만 내 눈엔 그 새싹이 오랜 침묵 끝에 건네는 인사가 들렸다.“나, 살아 있어요.”그 새싹이 여기까지 오기까지분명 겨울이라는 긴 시간을 견뎌야 했을 것이다.눈 속에서, 얼음 밑에서,빛도 없이, 따뜻한 위로도 없이,묵묵히, 깊숙이 뿌리를 내리고 있었을 것이다.우리의 삶에도 겨울은 있다춥고 배고프고 불안한 나날들.몸의 기운은 예전 같지 않고,삶의 열정은 낯설게 식어가는 듯 느껴진다.누구도 알아주지 않고,세상은 너무 빠르게 변해간다.그러나 자연은 이렇게 말한다."겨울은 죽음이 아니라, 준비의 시간이다."겨울..

자연주의 단상 2025.04.02

사람이 사람답게 산다는 것

물건이 제 기능을 잃으면 쓸모를 잃듯, 사람도 사람다움을 잃으면 더 이상 사람이라 부르기 어렵다. 성경에도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라는 말씀이 있다. 이 구절은 단순히 음식의 간을 맞추는 조미료로서의 소금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소금은 정화하고, 보존하며, 맛을 내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사람도 세상 속에서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지니며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단지 인간이라는 종(種)으로 태어났다는 사실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람다움은 타인을 배려하고, 양심을 따르며, 공동체 안에서 정의와 책임을 다하려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이는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정신성과 도덕성을 전제로 한다. 짐승은 본능에 따라 산다. 배고프면 먹고, 위험..

카테고리 없음 2025.04.01

사회가 불안하다

출처: EPA요즘 부쩍 고개를 들고 있는 극우 세력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특히 한국에서도 극우세력의 증가는 사회불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극우세력의 확장과 사회불안에 대해 심리학적 관점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극우세력이 왜 나타났는지 그 배경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극우세력의 출현 배경은 경제적, 정치적 불안정성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극단적인 이념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노후문제와 취업 문제로 불안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사회적 불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사회불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경제적 불안입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심리학의 나무 2025.03.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