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환경은 분리하여 볼 수 없는 것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상호 작용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유전적이고 정신적 결정론에 따라가지 않고, 인간을 환경적 욕구에 적응하고 때로는 환경을 자신의 요구에 맞게 수정 또는 변화시킴으로써 발달해 가고 만족스럽게 성장해나가는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이론을 ‘생태학적 이론’이라고 합니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인간을 자신의 내면과 외면의 세계에 대해 비교적 자유로운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즉 인간은 환경과의 교류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얻고 자율성과 자기규제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과 환경은 분리할 수 없으며,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칩니다.
1) 인간의 특성
① 관계
관계는 인간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형성하거나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인간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와 기능은 초기 양육과정에서 시작되고 일생을 거치면서 행동의 유형을 결정하게 됩니다.
② 역할
역할은 고유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개인이 타인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즉, 역할은 당연시 되는 행동 유형일 뿐만 아니라 상호적인 의미의 유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정, 정서, 지각, 믿음 등은 역할 수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 수행은 개인의 자존감과 밀점한 관계가 있습니다.
③ 유능함
유능하다는 것은 인간이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환경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아동기에 아이는 울거나, 대상을 붙잡거나, 기어 다니고 걷게 되면서 환경과 상호작용할 때, 자기효능감을 느끼게 됩니다. 유능성이 발달하는 것은 자존감을 경험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2) 환경의 특성
① 사회적 환경
현대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은 ‘조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직은 권위와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조직은 본래 목적보다는 체계 유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그 조직을 이용하는 인간의 관심사에 종속되는 현상을 띄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관계망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관계상의 연결성이며 의사소통 통로이기도 합니다.
② 물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은 자연적 환경과 인위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 환경에는 기후와 지리적 조건 등이며, 인위적 환경은 건축물, 대중매체, 교통시스템 등 인간이 발전시킨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도 인간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③ 공간과 시간적 리듬
개인의 평화로운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은 ‘공간’입니다. 거리의 환경이나 건축물 내부, 또래집단 등도 공간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속도, 기간과 같은 시간적 리듬이 적응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장 운동, 생리주기, 호흡, 맥박, 심리적인 시간, 문화적 시간, 생활 주기 등을 포함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