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① 적합성
적합성이란 개인의 욕구와 환경의 수준이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와 관련된 개념입니다. 적합성은 인간 외의 생물에는 진화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인간은 일생을 통하여 성취됩니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 교류는 적응적일 수도 있으며 부적응적일 수도 있습니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환경과 인간이 공동으로 에너지를 표출할 때 각각이 발휘하는 개별적인 에너지보다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 반대로 양자 간의 갈등과 불균형으로 생존과 발달을 저해하는 부적합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적응
적응은 개인과 환경 사이의 활발한 상호 교환을 포함한 개인과 환경이라는 하나의 개념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개인과 환경이 상호 영향을 미치고 가장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봅니다. 따라서 인간은 환경을 자신의 욕구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키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또한 적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인간은 끊임없이 창조하고 재구조화하며, 환경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환경에 적응해 나갑니다.
③ 스트레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초기 스트레스 이론(Lazarus, 1980)들을 받아들이면서도 환경의지지 정도나 스트레스 유발 정도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 교류는 생활스트레스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개인이 지각한 요구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사이에 불균형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스트레스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 교류에서 나타나는 불균형에 의해 생기는 심리적,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좋은 동기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④ 대처
사람들은 환경 안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대처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이는 정서적 고통을 통제하기 위한 개인적 행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대처기술을 갖추기 위해서는 내적, 외적 자원이 요구됩니다.
내적 자원은 자존감과 문제해결 능력, 유능감 등이 있습니다. 외적 자원에는 가족, 사회관계망과 조직의 지원이 있습니다. 성격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환경적인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 인간 발달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개인과 환경을 발달의 산물이자 생산자라고 봅니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이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존재로 인식한다는 것입니다. 즉, 유아가 태어나면서 백지상태가 아니라 이미 환경과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타고난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개인은 환경으로부터의 반응을 만들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을 바꾸고 일생을 통해 심리사회적 성장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