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17

왜 '일'을 하는가?

이런 멍청한 질문을 했다. 발 골절로 깁스를 하고 있으니 아무 '일'도 할수가 없다. 그래서 나 자신에게 물어보았다. 인생에서 '일'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일을 해야 하는가? 일은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일까, 아니면 더 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정일까? 로마의 철학자이자 황제였던 마르쿠스 아울렐리우스는 그의 저서 《명상록》에서 일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다. 그는 말한다. "일하라! 하지만 비참하게 일하지 말고, 칭송받거나 연민 받기 위해 일하지 말라. 공동체에 최선인 것을 따라 행하거나, 아니면 잠잠히 있으라." 아니면 잠잠히 있으라니 무슨 뜻일까?1. 비참하게 일하지 말라아울렐리우스는 "비참하게 일하지 말라"고 말한다. 이는 일을 단순히 고통스러운 의무로 여기지 말라는 뜻일 것이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3.19

타인 속에 비친 나의 그림자

"누군가를 미워하고 있다면, 그 사람의 모습 속에 보이는 자신의 일부분을 미워하는 것이다." 라는 헤르만 헤세의 이 말은 단순한 철학적 명언을 넘어, 인간 심리의 깊은 내면을 드러내는 통찰이다. 우리는 왜 사람을 미워하게 되는가? 그 미움의 근원은 과연 타인에게 있는가, 아니면 우리 자신에게 있는가? 1. 미움에 대한 심리적 관찰투사(Projection)의 메커니즘심리학에서 '투사'는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감정, 욕구, 혹은 특성을 타인에게 돌리는 방어기제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느끼는 분노나 불안을 타인에게서 비롯된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의 결점을 타인에게서 발견하는 것이다. 헤세는 이러한 투사 메커니즘을 잘 이해하고 지적한 것 같다. 우리가 누군가를 미워할 때, 그 미움의 대상은 단순히 그 사람..

카테고리 없음 2025.03.18

자존심이 밥먹여주나?

자존심의 덫: 감정에 휘둘려 후회하는 순간들어느 날, 나는 한 친구와 심하게 다투었다. 그날의 대화는 평소와 달랐다. 사소한 의견 차이에서 시작된 말다툼이 점점 감정싸움으로 번졌다. 나는 상대방의 말에 조용히 대응할 수도 있었지만, 내 자존심이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내가 지면 안 돼."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했고, 결국 나는 평소라면 하지 않았을 친구의 자조심을 깍는 말을 내뱉었다. 친구는 싸늘한 얼굴로 나를 바라보다가 조용히 돌아섰다. 그 후로 그와 소식이 끝어졌다. 나는 그를 굴복시킨 것처럼 보였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무언가가 허물어지는 느낌이 들었다.시간이 지나면서 후회가 밀려왔다. 차분히 돌아보니, 그 순간 내 감정은 ‘자존심’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벽을 쌓고 있었다. 분명 처음에는 작은..

카테고리 없음 2025.03.15

전설적인 복서의 인생 한 마디

전설적인 복서 버나드 홉킨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자신의 가치를 모른다면, 다른 사람이 그걸 알려줄 것이고, 그건 실제 가치보다 더 평가절하될 것이다."스스로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 그것을 올바르게 평가할줄 알아야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1. 만약 자신을 과소평가하면 그 틈을 파고드는 것들사회심리학자 리언 페스팅거(Leon Festinger)의 사회적 비교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자기 가치를 평가한다고 했습니다. 만약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들과 자주 비교하는 상향 비교를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낮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이렇게 우리는 종종 자신의 처지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성을 지니게 됩니다. 바로 이때 세상은 여러분이 스스로 낮춰 잡은 그 ..

카테고리 없음 2025.03.14

인간의 자만 그리고 성장 가능성

인간의 마음은 본디 자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는 스스로를 평가할 때, 그 기준을 흔히 주변의 다른 사람들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컨대, 운전자의 90%가 자신이 평균 이상의 운전 솜씨를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통계적 오류를 넘어, 인간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한 자만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같은 맥락에서 대학교수의 94%가 자신의 강의 실력이 평균보다 낫다고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도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또한 정치인들 대부분도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스스로를 이상적으로 포장하며, 그것이 현실이라고 착각하는 데 익숙합니다.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사업을 시작하면서 ‘내 사업은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라고 믿는 사람들이 90%에 이른다고 합니다. 현실은..

카테고리 없음 2025.03.13

정신건강 문제가 더 악화되는 한국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관련 질환 등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인의 정신건강이 과거에 비해 더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현대인의 정신건강 악화 원인-과도한 경쟁과 성과 중심 문화: 현대 사회는 경쟁이 치열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학업, 직장, 사회적 관계에서 높은 성과를 요구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개인은 지속적인 압박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는 정신적 피로와 불안감 증가로 이어진다.-디지털 기술과 SNS의 영향: 스마트폰과 SNS의 보급은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SNS를 통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게..

카테고리 없음 2025.03.12

생텍쥐페리의 단상

생텍쥐페리의 단상사람은 오로지 가슴으로만 올바로 볼 수 있다. 본질적인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전의 사유가 오늘에서도 어떤 메시지를 던지는 것은 왜일까요. 세기를 뛰어넘는 명언이 여전히 진정한 가치를 전합니다. 요즘 쓰레기 같은 거짓부렁이가 미디어의 힘을 업고 한껏 우쭐거리고 있습니다. 가슴으로 이웃에게 다가가려는 숨은 의인들이 더 따뜻하게 느껴지는 나날입니다. 우리는 가슴으로 보아야만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진정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사랑, 열정, 꿈, 그리고 진실—이야말로 우리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입니다.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진정한 목표와 가치을 지향한다면, 그 길은 결코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어려움이 닥쳐도 마음속의 빛을 잃지 말고, 자신을 믿고 나아가세요...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반응형